뉴스 세상

이주영 MRA/IC 한국본부 총재에게 듣는다.

daum an 2024. 9. 3. 17:45

 

안전문화 바탕은 '도덕', 도덕이 해이해지면 '사고' 발생

[시사우리신문]정직, 순결, 무사, 사랑이라는 4가지 도덕 표준을 바탕으로 ‘도덕재무장 운동’을 펼치고 있는 MRA/IC. 지난 2월부터 한국본부를 이끌고 있는 이주영 총재는 안전문화의 바탕에도 ‘도덕’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는 2014년 세월호 사고로 수많은 생명을 잃었지만 재작년 이태원 참사라는 대형 사고를 또다시 겪었다. 세월호 참사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으로서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했고 여전히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놓지 않고 있다는 이주영 MRA/IC 총재. 그를 만나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세는 무엇인지에 대해 들어봤다.

이주영 MRA/IC 한국본부 총재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Q.올해 초 MRA/IC 한국본부 총재로 선임된 후 중점적으로 진행한 일과 그간의 소회가 궁금하다.

A.올해 2월 MRA/IC 한국본부 총재로 선임돼 어느덧 7개월이 지났다. 도덕재무장 운동에는 4가지 도덕 표준이 있다. 절대 정직, 절대 순결, 절대 무사, 절대 사랑이 그것이다. 요즘 사회는 정치, 경제뿐 아니라 고용 노동 분야, 복지,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대립이 극심하고 여러 가지 문제가 만연해 있다. 때문에 지금이야말로 도덕재무장 정신을 강조해야 할 때다. 총재 취임한 후 제가 가장 중점적으로 해야 할 일이자 매우 큰 과제다.

도덕재무장 운동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 우리 사회에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일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도덕재무장을 확산시키기 위한 교육과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또 집회와 교육을 위한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언론을 통해서도 도덕재무장 운동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는 지금으로부터 57년 전,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1967년부터 도덕재무장 운동에 참여했다. 그 당시의 창립정신을 그대로 오늘의 사회에 적용시켜봤을 때 여전히 도덕적으로 재무장 해야 할 곳이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총재 임기 4년 동안 도덕재무장 운동을 통해 맑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Q.MRA/IC(세계도덕재무장)이라는 명칭이 대중에게는 생소할 수 있을 것 같다. 어떤 단체인지 소개 부탁드린다.

A.1938년 영국 런던, 프랭크 북맨 박사에 의해 설립된 MRA/IC는 정직, 순결, 무사, 사랑이라는 4가지 도덕 표준을 바탕으로 세계평화와 인류 번영을 목표로 하는 단체다. MRA란 ‘도덕재무장’이라는 의미로 ‘Moral-Re-Armament’의 약칭이다. 주기적으로 단원들이 모여 훈련활동을 하거나 세계 각국의 청소년과 대학생이 모여 포럼을 개최해 교류하고 있다.

‘도덕’이라는 게 요즘 사람들에게는 고리타분하게 들릴 수 있다. 그래서 도덕재무장도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효율적으로 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변화를 주도하는 모임’이라는 뜻을 가진 ‘IC(Initiatives of Change)’로 명칭을 바꿔 활동 중이다.

안전문화라는 것도 그 바탕에는 ‘도덕’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방 조치들을 잘 취하고 빈틈이 없도록 늘 점검하고 교육 및 훈련을 시키는 등 일련의 활동이 필요한데 도덕이 해이해지면 안전을 지켜야 한다는 의식도 흐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안전문화와 도덕재무장을 밀접하게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다.

Q.법관, 5선 국회의원, 해양수산부 장관, 국회부의장 등 공직을 거쳐왔다. 그동안의 안전 관련 활동에는 어떤 게 있었는지 궁금하다.

A.공직에 있다면 안전 소홀로 인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응분의 책임을 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 또한 법관, 국회의원, 해수부 장관, 국회부의장 등 여러 공직에 있으면서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여러 의무를 수행해 왔다.

산업현장에서 재해가 발생하면 관련 책임자가 형사 기소돼 재판을 받게 되는데 제가 법관으로서 이러한 재판을 다수 담당한 경험이 있다.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 고용주에게는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늘 재판에 임했다. 국회의원으로 일할 때에도 안전에 대한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잘돼야 한다고 생각해 입법 활동에 힘썼다.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있을 당시 참 가슴 아픈 기억이 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것이다. 장관 취임한지 한 달하고 열흘 됐을 때였지만 세월호 사고의 책임자로서 바로 장관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했다. 세월호 범정부사고대책본부 본부장으로서 사고 수습 현장을 지휘하기 위해 전남 진도군 현장에 오래 머물렀다.

Q.세월호 참사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 안전의식에 가장 필요한 변화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A.세월호 사고를 수습하는 동안에 해양수산부 장관으로서 이러한 선박 사고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초점을 맞췄다. 배를 타고 오가는 사람들뿐 아니라 연안에 거주하는 주민들까지 모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법적.정책적 뒷받침을 강구하고 국무회의를 통해 보고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는 데 모든 국민이 한목소리를 냈다. 실제로 관련 입법활동이 활발히 이뤄졌고 국민들 사이에서도 안전에 대한 의식이 매우 높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작년 이태원 참사 사고가 발생했다. 다수의 사람들이 밀집해 숨도 못 쉴 지경이 되도록까지 아무도 관리를 하지 않았다. 사고 발생 직전 여러 번 신고가 이뤄졌는데도 정부와 관계 부처들이 기민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해 또 한 번 대형 참사가 발생한 것이다. 이런 상황을 보면 ‘아직도 우리는 좀 멀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세월호 참사를 겪었는데도 시간이 흐르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점차 흐려지는 것 같다.

다만 정부가 그래서는 안된다. 정부는 국민 안전에 늘 깨어 있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켜야 하며 조금이라도 위험이 감지되면 즉각적으로 대응을 해야 할 의무가 있다.

Q.끝으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A.해양수산부 장관 시절에 큰 사고를 겪었던, 책임을 졌던 사람으로서 스스로도 늘 안전 문제에 대해서는 경각심을 갖고 깨어있는 것 같다. 이를 바탕으로 MRA/IC 총재로서 도덕재무장 운동에 힘쓰는 것과 동시에 늘 안전도 지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파할 생각이다.

많은 국민들이 안전신문과 같은 언론뿐 아니라 다양한 캠페인, 교육 등을 통해 안전에 대한 깨달음을 끊임없이 얻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 또 이를 통해 일상 속에서 늘 안전을 생각하는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저 또한 노력할 예정이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밑바탕은 ‘도덕’이다. MRA/IC는 청소년 대상 교육을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지는 구성원인 청소년이 도덕재무장을 통해 자연스럽게 안전에 대한 가치를 깨우쳐 결과적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본 인터뷰 내용은 안전신문(https://www.safetynews.co.kr)에서 출처 됐습니다.



https://www.urinews.co.kr/sub_read.html?uid=80483

 

≪시사우리신문≫ 이주영 MRA/IC 한국본부 총재에게 듣는다.

[시사우리신문]정직,순결,무사,사랑이라는4가지도덕표준을바탕으로‘도덕재무장운동’을펼치고있는MRA/IC.지난2월부터한국본부를이끌고있는이주영총

www.ur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