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종 세상

물로만 99.9% 살균해주는 텀블러 및 개인컵 자동 살균 세척기 '클린지니'

daum an 2022. 1. 7. 16:47

 

01.기후 위기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2040년까지 13억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배출될 것

-한국, 플라스틱 배출량 세계 2위

-기후 위기의 대응

-기후 위기의 경쟁력

 

플라스틱은 포장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버려지기 전까지 단 한 번만 사용된다

해변가에서 발견되는 플라스틱은 전체 쓰레기의 아주 적은 부분일 수 있다

 

 

북태평양에 실제로 존재하는 한반도 7배 크기의 거대 쓰레기 섬(Great Pacific Garbage Patch, GPGP). 이 섬의 95%는 플라스틱 폐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2040년까지 13억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배출될 것

 

BBC NEWS 코리아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2040년까지 약 13억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땅과 바다에 버려지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이는 앞으로 20년간의 플라스틱 쓰레기 규모에 대한 국제 모델에 따른 추측이다.

 

영국 리즈 대학교 코스타스 벨리스 박사는 이 숫자가 충격적이지만 우리가 이를 막을 수 있는 기술과 기회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이 논문은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그는 "이 논문이 향후 20년 안에 우리가 마주할 모습이 어떤지를 보여주는 최초의 종합적인 평가"라고 설명했다.

 

벨리스 박사는 "13억 톤이 어느 정도의 양인지 상상하기 어렵지만, 만약 당신이 플라스틱을 평평한 표면에 깔아 놓는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영국 면적의 1.5배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이라면서 "플라스틱은 세계 곳곳에 널려있고 사용과 처리 방법이 다 다르기 때문에 수치화하기 복잡하다"고 설명했다.

 

텀블러 및 개인컵 자동 살균 세척기 '클린지니'로 기후 위기 대응해야~

-한국, 플라스틱 배출량 세계 2위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한 재활용 폐기물 중간 집하장의 모습. 폐기물들이 가득 쌓여있다

 

대한민국이 탄소중립 시대를 선언하며 플라스틱과 일회용 종이컵들이 변화하고 있다.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 파괴를 막는 친환경 제품화다.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고, 소비자들의 착한 소비도 동력이 되고 있다. 그러나 풀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정부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절실하다.


우리나라 환경부의 '최근 3년간 포장재 발생량 및 재활용률' 조사를 보면 2019년 기준 국내 페트병 재활용률은 82.3%다. 발포수지(82.6%)를 합산해도 역시 82%를 웃돈다. 2017~2019년 매년 조금씩 재활용률이 높아졌다. 준수한 숫자다.


해외서 보는 시각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그보다 4년 전인 2015년 기준 한국의 플라스틱 재활용률이 59%라고 집계했다. 독일(65%)에 이은 2위지만 순위가 높다고 자랑하기엔 국내 집계와 간극이 너무 크다. 조사 시점 상 4년여의 시차가 있음을 감안해도 재활용률이 단시일 내에 저렇게까지 높아지긴 어렵다. 국내 집계 방식과 글로벌 스탠더드 간에 차이가 있다는 거다.

 

 

2019년 12월에 그린피스가 낸 '플라스틱 대한민국, 일회용품의 유혹' 자료

 



2019년 12월에 그린피스가 낸 '플라스틱 대한민국, 일회용품의 유혹' 자료를 보면 간극은 더 커진다. 그린피스는 "재활용과 에너지 회수를 구분하는 EU(유럽연합) 방식으로 집계할 때 한국의 플라스틱 재활용율은 22.7%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늘 걱정이 너무 많아 걱정스러운 그린피스 자료임을 감안하고 보더라도 너무 큰 차이다.

 

-기후 위기의 대응

 


목에 플라스틱 폐기물이 걸린 물개


지난 2019년 11월  30일 스코틀랜드 헤브리디스제도의 해안에 밀려온 죽은 향유고래

 

 

-기후위기의 경쟁력

 

 

제품문의 및 제안서 문의는 010-7530-0078 또는 agh0078@naver.com으로 문의 하시면 됩니다.